안녕하세요, 파인에이브이입니다!!
오늘은 얼마전에 설치한 Piega의 coax 711을 메인으로 함께 사용하고 계신 기기들을 간단히 보여드리려 합니다.


▲고객님이 사용하고 계신 시스템입니다.

▲Piega coax 711
coax 711 상위 마스터 라인업에 적용된 피에가의 스피커 설계 패턴을 축약시켜 놓은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Coax 711은 3웨이 시스템에 스탠드를 받칠 필요가 없는 플로어스탠딩 타입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초저역에서 초고역까지 모두 소화하는 광대역 플로어스탠딩 설계 방식은 다른 제조사와 다를 것이 없어 보이지만, 그 형태만 비슷할 뿐 소재와 유닛 모두 자사의 패턴을 따르고 잇습니다.
우선 유닛은 2세대 Coax 시스템을 개발해 채용했습니다. 기존에 사용했던 유닛에서 한층 더 발전한 이 유닛은 기본적으로 광대역을 커버해줍니다. Coax 711에 사용된 리본은 고역만 커버하는 것이 아니라 중역까지 재생하는, 이바 동축 유닛을 사용하였습니다.
Coax 711의 저역 재생엔 특별한 것이 있는데요? 마그넷과 코일 등으로 구성해 인입된 전류에 대해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유닛과 진동판만으로 구성된 패시브 라디에이터를 혼용하고 있다는 것 입니다.
스펙에도 나와 있지만 임피던스는 4옴으로 조금 낮은 편이지만 능률은 무려 92d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실제로 저역이 매우 수월하게 나오며 그 양도 적지 않아 과거 중, 고역대로 몰린 엷고 얇은 소릿결의 리본 스피커에 대한 선입견을 싹 잊게 해주었습니다. 이런 특성은 인클로저 제작/ 설계과정에 변화를 주었기 때문입니다. 천 톤가량의 알루미늄 블럭을 4천 도까지 가열한 후 7천 톤가량의 고 압력으로 사출해 사용하지만 문제는 내부 댐핑 방식인데, 피에가는 ‘Tension Improve Modules’ 방식의 내부 알루미늄 브레이싱 시스템을 개발해 팽팽한 장력을 균질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내부엔 댐핑 컨트롤을 위한 특수 필름을 사용해 아주 작은 진동까지도 놓치지 않고 흡수해줍니다.

▲ Penaudio(펜오디오) Cenya(센야) (신형)
coax 711 옆쪽의 눈에띄는 스피커는 펜오디오의 신형 센야(Cenya) 입니다.
펜오디오는 핀란드에 자리 잡은 이점을 활용해 Baltic Birch로 불리는 자작나무를 적층으로 가공해 스피커 인클로저를 만듭니다. 센야는 그 중 에서도 최상급 북쉘프 스피커로 1.5mm에서 2mm 에 걸쳐 각각 다른 두께의 나무를 적층으로 가공해 오랜 시간이 지나도 절대 휨이 발생하지 않고 특히 어떤 재질 보다도 강도가 높고, 시각 / 촉각적으로 아름다운 외관을 자랑합니다.
기존의 센야와는 다르게 좀 더 큰 구경의 텍스타일 돔(Wavecor)을 채용했는데 이것이 구형과 신형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렉트로콤파니엣(Electrocompaniet) 네모(NEMO) 모노블록파워 / 일렉트로콤파니엣(Electrocompaniet) EC 4.8 프리앰프 / meitner(마이트너)사의 DAC MA-1 V2 / MBL 1621A CD 드라이브 / MBL 1611F 컨버터
coax 711과 매칭되어있는 앰프는 일렉트로콤파니엣(Electrocompaniet)사의 네모(NEMO) 모노블록 파워앰프와 EC 4.8 프리앰프입니다.
먼저 네모(NEMO)는 A급 클래스에 8옴 600W, 4옴 1200W의 출력을 내주는 대출력 파워앰프입니다.
더욱 개선된 FTT (Floating Transformer Technology) 기술이 적용된 파워 서플라이와 기존의 전원부보다 두배이상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충실한 전원부, 최신, 엄선된 회로 디자인과 선별된 부품으로 구성된 진정한 플래스쉽 파워앰프입니다.
모노블록 한 개의 내부에도 좌우로 분리시켜 좌·우 각각 6개씩의 대용량 전해 콘덴서 배치, 방열핀도 내부에서 좌·우 별도로 분리가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 몸체에도 4라인의 철저한 방열핀이 배치되어 있어, 대출력 A급 앰프답지 않게 발열이 심하지 않습니다.
프리앰프 EC 4.8은 뛰어난 성능, 탁월한 해상도, 최상의 컨트롤 기능과 정확한 음악 재생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고품위 프리앰프로서의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키는 EC 4.8의 디자인은 입력에서 출력까지 풀밸런스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디자인은 마치 전원부까지 모두 두개로 완전히 분리된 모노 프리앰프를 합쳐놓은 형태입니다. 또한 EC 4.8에는 SPAC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연결된 파워 앰프를 완벽하게 보호하는 기능도 내장되어 있습니다.
Piega coax 711 과 연결되어있는 소스기기는 MBL 1621A CD 드라이브 와 MBL 1611F 컨버터 입니다.
MBL 1611F 기기에 적용된 컨버터에 관한 최신 컨셉은 멀티비트 모듈로 부터 전송 되는 저음 및 시끄러운(loud)를 델타 - 시그마 컨버터 영역의 배음 음역과 원래의 크기로 결합하여 최상의 상태로 제어 합니다. 이 기술을 적용한 고정밀 회로부는, 그 기능을 더할 나위 없이 완벽하게 제어할 뿐만 아니라, 시호 통로 구간이 대단히 짧아서 CD 또는 SACD 포맷을 불문하고 사용자의 음악 신호를 처리할 때 가장 높은 수준으로 데이터 안전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MBL 1611F의 새로운 인터페이스인 USB는 모든 종류의 컴퓨터 플랫폼 (윈도우, 리눅스, 맥)에서 작동 됩니다. 컴퓨터의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 되어있는 고해상도로 감상 하실 수 있습니다.
MBL 1621A CD 드라이브는 MBL이 추구하고자 하는 방향을 가장 아름답게 표현해주고 있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 시장에 대량으로 유통되는 CD 플레이어 제품들과는 완전히 차별화 된 제품입니다. MBL 1621A 은 모든 면에 있어서 추구하고자 하는 완벽함을 위한 노력을 보여주는 상징적 제품이며 훌륭한 기술력과 완벽한 디자인 및 탁월한 숙련공에 의한 최고급 소재 운용 등의 모든 요소가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견고한 알루미늄 주물로 제작된 틀을 갖춘 오디오 시장에서 찾을 수 있는 최고급 CD 드라이버인 MBL 1621A 를 MBL은 완전한 내구성을 지니면서 정교한 ‘tracking 3 beam laser drive’를 향상 시켰습니다. 이러한 향상을 위한 해결책의 예를 들자면, 떨림 현상을 피하기 위해 드라이브를 4kg 무게의 서브 샤시 위에 고정시켰다는 것과 놋쇠/알루미늄/테로뎀(Terodem)으로 만든 견고한 블록을 사용하고 삼각점 위에 스프링으로 고정하여 격리시킴으로써 절연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였다는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조정 능력인데 아주 좋은 레코드 플레이어에 실제로 적용되었던 드라이브의 완전한 수평적 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견고한 상판은 10mm 두께의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악 파장으로부터 영향 받지 않도록 보호해 줍니다.CD가 들어가 놓여지는 공간 내에서의 울림/공명 현상을 피하기 위해 커버의 모양은 마치 나사못과 같이 3차원의 입체적인 커팅이 되어 있습니다. 이 때문에 CD와 나사못 모양의 커버 사이에 평행적으로 만나는 표면이 없게 됩니다.
MBL 1621A 드라이브의 사운드는 정말 대단합니다.진동으로 일어나는 장애와 왜곡으로부터 벗어나 순수하게 차별화 된 MBL 1621A가 들려주는 음의 해상도는 리스너에게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MBL컨버터 아래쪽으로 보이는 제품은 meitner(마이트너)사의 DAC MA-1 V2 입니다.
MA-1 V2는 DSD 샘플링 레이트를 더 올려 DSD512, 즉 8XDSD로 변환시켰고 이는 SACD의 8배 수준에 해당하는 해상도며 CD에 비해 512배 높은 해상도를 보여줍니다. MDAT™ 덕분에 가능해진 일인데요? 더불어 V2 버전에서 입력 샘플링 레이트 한계도 PCM의 경우 192kHz로 동일하지만 DSD의 경우 DSD128 및 DXD까지 모두 대응하고 있습니다.
MA-1 V2의 핵심 중 하나는 바로 MDAC™라는 마이트너의 독보적인 듀얼 디퍼런션, 디스크리트 DA 컨버터로 내부의 좌/우에 장착되어 있는 모듈이 그 주인공입닌다. 독보적인 클럭 시스템으로 MCLK™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부문의 전 과정은 이 마스터클럭에 의해 통제됩니다. 또 하나 마이트너 DAC가 특별한 점은 MFAST™라는 회로인데요? 이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버퍼링해 출력 신호를 비동기 방식으로 완전히 분리시키는 기법으로 이 회로를 통해 지터를 극단적으로 낮추어 줍니다.

▲ 설치가 완료된 모습입니다.
오늘 보여드릴 설치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이번 설치기를 위해 협조해주신 고객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앞으로 좋은 AV생활 즐기시길 바랍니다^^
|